본문 바로가기
체육학, 스포츠, 운동, 스포츠 문화 산업

스포츠 코칭에 대한 개념 및 인식 변화

by PTSDAPP 2022. 8. 6.

스포츠 코칭에 대한 개념 및 인식 변화

스포츠 코칭에 대한 개념 및 인식 변화
스포츠 코칭에 대한 개념 및 인식 변화

전문체육에 대한 학제 간 통합적 접근에 대해서 한번 이해를 해 보고 인재교육으로서의 전문체육의 특성을 한번 이해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칭이라는 단어 그 용어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봤고 그 용어가 스포츠 교육학에서 어떻게 적용이 되고 있는지를 이해해 봤는데 그걸 더욱더 심화시켜서 그러면 스포츠교육학 안에서 스포츠 코칭이라는 영역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연구되고 또 그 결과물들은 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최근 동향을 바탕으로 설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칭

다시 한번 그 키포인트를 말씀을 드려 보면 코칭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사전적 의미가 저렇고 스포츠교육학에 고스란히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전문적인 목표를 실현하는 교육 과정 그리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전문체육지도자 그리고 거기에서 또 그 과정에서 어떠한 결과가 도출이 되는지 그 일련의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그것이 바로 스포츠 교육학에서 스포츠 코칭을 연구하는 그런 방향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스포츠 코칭의 교육학적 의미를 한번 따져 보면 저렇게 간단한 도식으로 설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코칭은 어떤 파트너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재개발 기법으로 저희가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코칭이라는 용어 자체는 체육학에서만 쓰는 용어가 아닙니다 코칭이라는 용어는 처음에 경영학분야에서 가장 먼저 사용했다고 하는데요. 그 분야에서 선천적으로 수, 셈에 상당히 밝은 사람들, 관련된 IQ가 상당히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경영 전문인을 양성하는 그러한 과정을 코칭이라고 일컫기 시작했고 그것들이 다른 학문 영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체육학에서도 전문 운동선수를 양성하는 과정에 코칭이란 용어를 빌려서 쓰기 시작한 것이죠. 체육학은 후발 주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다른 체육학 이전에 저 용어를 빌어서 적용하기 시작한 학문 영역과 비교해보면 저희는 지금까지 그 방향과 그리고 학문의 깊이와 그 폭이 상당히 달랐다는 거죠. 지금은 연구자들이 그리고 교육자들이 인지하고 그와 같은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는 그런 과정이라고 여러분들이 이해하면 될 거 같습니다.

스포츠코칭

전통적으로 저희가 스포츠코칭 스포츠 엘리트코칭 영역을 스포츠교육학에서 연구할 때 이런 연구가 진행이 되었습니다. 어떤 선수를 선발을 해야 되고 그 선수를 어떻게 지도하고 개인 관리를 시키고 또 과학적 훈련 기법을 어떻게 적용해서 어떤 결과가 도출되어야 되는가. 저런 방식으로 예전에 여러분들 선배들은 코칭론이라는 그런 과목도 있었고 상당히 유사한 명칭을 가진 과목으로 저런 것들에 대한 학습을 스포츠 엘리트 코칭과 관련된 과목 그런 과목을 수강하면서 학습을 해왔어요. 근데 그런 과정이 거듭되다 보니까 종목별로 상당히 저 다섯 가지 요인에 대한 차이가 극명하고 일관된 개념이 모든 종목에 일관되게 적용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간파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당히 다르게 다른 관점에서 스포츠 엘리트 코칭이 해석이 되고 있어요. 예를 들면 선수를 선발을 하다 보니까 그 선수를 선발할 당시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상당히 다양한 잠재력들이 선수에게 내재하고 있다는 거죠. 예를 들면 운동에 대한 근성이라든가 아니면 전략전술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그런 창의성이라든가 지도자의 지도를 흡수할 수 있는 그런 인성을 갖추었다던가 그런 것들이 선수 선발과정에서는 발견되지 않지만 잠재력으로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기 시작했고 그런데 그러한 잠재력들이 선수를 장기간 지도하다 보니까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데에서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 선수 지도에 대한 그런 스포츠코칭 연구는 저기에 집중을 하고 있어요. 선수를 선발할 당시에 선수의 체력을 본다든가 선수의 외형을 본다던가 선수의 그 당시에 운동 기량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기초가 돼서 그 선수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잠재력이 어떤 것이고 그 깊이 앞으로 어느 정도 성장할 수 있는 선수라고 판단이 될 수 있는가? 거기에 포커스를 맞춰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