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학, 스포츠, 운동, 스포츠 문화 산업

스포츠심리학 지식을 활용한 현장적용(스포츠 심리학 필요성)

by PTSDAPP 2022. 8. 8.

스포츠심리학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스포츠 심리학 필요성)

스포츠심리학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스포츠 심리학 필요성)
스포츠심리학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스포츠 심리학 필요성)

스포츠심리학의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의 관점에 대해서 설명을 해 볼까 합니다. 큰 틀에서 첫 번째는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심리학의 필요성에 대해서, 그리고 두 번째는 스포츠 현장에서의 멘털 코칭의 역할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모든 스포츠에서 경기가 종료된 후에 운동선수들의 인터뷰 장면에서 경기에 승패와 관련해서 심리상태를 묻는 기자의 질문이 있습니다. 그때 선수들은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아서 승리를 할 수 있었다 말합니다. 또는 상대 선수가 흔들려서 승리를 할 수 있었다는 증언 등등이 선수들이 시합 상황을 회상하면서 심리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스포츠 현장에서 누구의 멘털이 무너지느냐가 어떻게 보면 경기의 승패를 결정하는 키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스포츠 심리학 정의와 역사를 공부했다면 지금부터는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스포츠심리학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면서 스포츠 심리학을 적용하는 멘털 코치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현장에서 스포츠 심리학 활용 경기력, 선수들이 승리를 하고자 하는 의지 그리고 바로 최상의 경기력이 있어야 최고의 기록 또는 승리를 할 수 있다는 말 이런 것 등등은 운동선수가 아니라도 스포츠를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 모두가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누구나 알고 있는 최고의 경기력은 과연 실제 경쟁상황에서 발휘할 수 있을까요? 스포츠를 입문하는 단계인 아동기와 그리고 운동선수로서 급성장하는 청소년기에 체력이나 체격, 기술 중에 또는 두 가지가 뛰어나면 좋은 경기력으로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인기에 해당하는 대학이라든가 실업팀 그리고 프로 또는 그 이상의 국가대표 선수로써 참가하게 되는 국제대회에서는 앞서 설명드린 체력과 체격, 기술이 상대보다 유리한 조건인데도 패배하거나 반대로 불리한 신체조건 속에서도 승리하는 선수들을 목격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스포츠 경기에서 목격할 수 있듯이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리적 기술요인 사례

레슬링 역사상 최초의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심권호 선수가 있습니다. 여러분이 보시기엔 레슬링을 하기에 적합한 신체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마른 채형과 작은 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권호 선수는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두 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을 했습니다. 또 다른 선수 ADHD 주의력 결핍으로 인한 과잉행동장애임에도 28개 올림픽 메달 획득한 마이클 펠프스라는 선수도 있습니다. 각 종목별 최고의 선수들이 경쟁을 하는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기란 말 그대로 최고의 경기력이 발휘되어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최고의 경기력을 유지해서 또다시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세계 최고라는 말밖에는 표현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처럼 국제대회에서 정상에 설 수 있었던 지도자와 선수를 대상으로 승리를 위한 필수 요소를 연구한 학자들은 그들이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비결에 은 바로 종목에 맞는 체력과 그 종목에 기술, 전술 있었으면서 여기에 심리적 기술 요인이라고 하는 요소가 상호 최적의 화합을 보유한 상태였다라고 밝히고 있는 것입니다.

경기력 향상을 위한 3대 필수요소

그러면 경기력 향상을 위한 3대 필수요소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결국 기술과 전술은 각 종목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차이가 있는 반면 체력과 심리 기술의 경우에는, 우선 체력은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그리고 순발력, 민첩성 그리고 유연성 등이 있다 하겠고. 이러한 두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스포츠심리학의 기본적인 심리기술은 목표 설정이라든가 집중력, 신체와 정신의 각성 조절, 그리고 시합에서의 불안 조절, 자신감, 심상, 자화 등등이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심리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심리기술이 필요요소에 포함되는 이유는 결국 심리가 경기력 향상을 위해 활용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불안정한 심리 상태가 최상의 운동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아주 많은 선수들은 최상의 수행에 대한 저해 요인으로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첫 번째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불안정한 심리 상태는 많은 선수들이 경기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불안과 자신감 상실, 그리고 의욕 상실, 집중력에 대한 상실 판단력 저하 이런 플레이를 하는데 창의성의 약화 등을 유발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이와 다른 선수들은 바로 시합 상황의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유하고 있는 선수들은 매우 좋은 경기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불안정한 심리 상태는 경기력 저하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겠네요. 실제 한국 운동선수들이 승리를 위한 중요도를 조사한 연구결과입니다. 종목마다 중요도는 강도, 그리고 점수에는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양궁 종목의 경우에 심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지각하고 있을 만큼 한국 선수들의 경기력에 있어서도 심리가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