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사회학의 영역 4가지 구분
저희가 스포츠사회학에 대해서 정의를 해보았는데요. 이번장에서는 그러하다면 스포츠 사회학을 구성하고 있는 영역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중식당에 가면 중식 메뉴가 있어요. 중식당에서 한식 메뉴를 팔지 않지요. 스포츠사회학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학문과 다르게 구별되게 이 학문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들이 존재해요. 스포츠 사회학은 크게 4개의 영역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요. 하나씩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포츠사회학의 4가지 영역
첫째는 전문적 영역입니다. 학문을 소개하는 부분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고요. 두 번째는 미시적 영역이에요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아주 작은 수준에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이나 그 일상생활에서 하는 경험에 맥락에서 소규모 그룹의 사람들의 행동 패턴이나 사고방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관심을 두는 분야죠. 세 번째 영역은 거시적 수준입니다. 스포츠 사회학에서는 정치, 경제, 교육, 미디어와 같은 제도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그런 구조들이 어떻게 발전하고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어지는가?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들이 발생하는가? 에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가 바로 거시적인 영역이고요.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영역은요. 어떤 제도적 영역을 넘어서 국가나 세계가 스포츠를 통해서 어떻게 소통을 하고요. 상호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관심을 두는 분야입니다. 즉 세계화나 민족주의 같은 것이 주요 관심사가 되죠.
스포츠사회학의 4가지 영역의 구체적 내용
하나하나 한번 구체적으로 살펴볼게요. 먼저 스포츠 사회학 메뉴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인 전문적 영역입니다. 스포츠 사회학에서 전문적 영역은요. 스포츠 사회학이 학문적으로 형성되어지고 발전하는데 공헌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어요. 즉 스포츠사회학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스포츠 사회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적, 지식적 개념들이 무엇들이 있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스포츠 사회학이 연구하는 대상은 누구지? 그리고 스포츠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연구할 때 어떠한 분석 방법들을 우리가 사용할지 마지막으로 분석되는 내용들을 어떠한 사회학적 이론에 렌즈를 통해 해석할지에 대해서 연구하는 영역이 바로 전문적 영역이에요. 1965년도에 스포츠사회학 관련해서 첫 국제학회가 만들어지는데 바로 국제 스포츠 사회학회입니다. 그리고 1978년도에 북미에서 캐나다와 미국을 중심으로 해서 북미 스포츠 사회학회가 출범이 되었고 우리나라는 그보다 조금 늦게 1990년도에 한국 스포츠 사회학회가 구성이 되어서 학회활동을 시작했는데요. 옆에 보시는 그림에서처럼 각각의 학회들은 매해마다 정기적으로 활발한 학술 활동을 하고요. 이를 통해서 학문적 교류의 장을 마련해서 앞에서 말씀드렸던 전문적 영역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시적 영역은요. 어떠한 하위 주제들로 구성이 되었을까요? 미시적 영역은 크게 스포츠 사회와 스포츠 집단과 조직, 그리고 스포츠 계층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을 합니다. 앞에서도 제가 간단하게 말씀을 드렸었던 것처럼 미시적 영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집단이나 조직 수준에서 그 집단이나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이 구성원들의 일상생활이나 어떤 일상의 경험에서 그 사람들의 행동 패턴 그리고 사고방식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서 관심을 둡니다. 스포츠 역시 마찬가지인 거죠. 여러분들이 스포츠 활동을 처음 시작했을 때 한번 기억을 해 보세요. 아마 스포츠센터에서 학교에서 혹은 동호회에서 스포츠를 처음 시작하셨을 거예요. 그리고 스포츠를 시작할 때 누가 여러분들에게 스포츠를 시작하게끔 권유했는지 한번 생각을 해 보시면요. 아마 부모님이, 혹은 학교의 선생님이 혹은 어떤 스포츠센터 코치 선생님이 그런 권유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스포츠 활동을 시작하셨을 겁니다. 그러한 활동에 참가한 이후로요. 그분들의 어떤 권유로 여러분들 참가한 이후로 여러분들은 그 조그만 사회 구성원이 되어 가는 것을 배웠죠. 서로 몸을 부딪치면서 그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요. 그러면서 그 조직에 그 집단의 문화도 배우게 돼요. 그리고 그 안에서 그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내가 이렇게 행동해야 하는구나 라는 것도 여러분들이 배우셨을 거예요. 이렇듯이 각각의 개인들이 작은 상호작용을 통해서 스포츠라는 공간 안에 상호작용이 빈번하게 발생을 하고요. 이러한 것들이 스포츠라는 사회 여러분들이 구성원이 되도록 도와 왔습니다. 더 나아가서는 스포츠라는 사회뿐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 구성원이 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배워왔던 거죠. 예를 들자면 스포츠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스포츠맨십을 배워요. 규칙을 따라야 해요. 이러한 것들이 사회로 나오게 되면 사회의 어떤 제도 혹은 법 이러한 것들을 따르게 되는 기본적인 발판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미시적 영역에서는요. 이와 같이 개인과 개인 간에 발생하는 행위 그리고 행위의 상호작용을 아주 세부적으로 관찰을 하고요. 또 연구해냄으로써 인간 행동이 스포츠라는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세 번째로 거시적 영역은요. 스포츠와 사회제도의 관계 혹은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는 영역이에요. 예를 들어서 이 영역에서는 사회제도 중에서 정치 제도나 경제 제도가 어떻게 스포츠와 상호작용 하는지를 탐색, 조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영역을 한번 살펴보도록 할게요. 스포츠에서 전체적인 영역은 스포츠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들이 국가나 민족의 영역을 넘어서 이제는 전 지구적인 전 세계적인 관심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데요. 바로 전체적인 영역에서는 이러한 관심사항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체육학, 스포츠, 운동, 스포츠 문화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생리학 개념의 정의와 필요성 (0) | 2022.07.29 |
---|---|
스포츠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0) | 2022.07.29 |
스포츠사회학에 대한 이해(vs 스포츠 심리학) (0) | 2022.07.28 |
스포츠, 사회학적 관심의 변천 (0) | 2022.07.28 |
스포츠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이유 (0) | 2022.07.27 |
댓글